단계 | 전략 및 사업추진 계획 |
---|---|
1단계 (2016년~2017년) |
●사회복지사업 경쟁력 강화 - 사회복지사업 중 중점사업 선정 및 추진 - 대내외 사회복지 네트워크 기반 확충 - 민간과 공공의 협력 강화 및 네트워크 강화 - 서비스의 권리성, 선택성이 보장되는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- 지역 내 소외계층 사례 발굴 및 관리체계 강화 - 지역 특성에 맞는 복지서비스 개발 및 전문적 서비스의 모색 - 사회복지 성과 및 이용자 관리체계 구축 |
2단계 (2018년~2019년) |
●역동적 조직운영 기반 마련 - 사회복지 창의적 인재양성의 체계화 - 지역주민 역량강화를 통한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-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·물적 자원 관리 및 자원의 체계화 - 창조적 혁신활동 활성화 - 지역주민 및 사회복지 의사소통 채널의 다각화 - 협의체 활동 및 기관 교류를 통한 기관 간의 신뢰관계 형성 - 사회복지사업 운영 효율성 제고 |
3단계 (2020년~2021년) |
●사회복지 운영자원의 확충 및 주민참여형으로 공헌하는 지역사회 형성 - 다양한 복지자원을 통한 자원의 한계 극복 및 복지서비스의 안정화 도모 - 은둔형 지역주민의 발굴을 통한 케어매니지먼트 지원 - 자원 활용의 극대화를 통한 상호 원조망 구축 - 이웃관계망 형성을 통한 지역사회 돌봄마을만들기 - 지역주민 중심의 환경친화 마을만들기 |